본문 바로가기

이진탐색

(11)
[이분탐색] 난이도1.5, Amazon 인터뷰 '고정점 찾기' (Python) 고정점이란, 수열의 원소 중에서 그 값이 인덱스와 동일한 원소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수열 a={-15,-4,2,8,13}이 있을 때 a [2]=2이므로, 고정점은 2가 됩니다. 하나의 수열이 N개의 서로 다른 원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모든 원소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습니다. 이때 이 수열에서 고정점이 있다면, 고정점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고정점은 최대 1개만 존재합니다. 만약 고정점이 없다면, - 1을 출력합니다. 단, 이 문제는 시간 복잡도 O(logN)으로 알고리즘을 설계하지 않으면 '시간 초과' 판정을 받는다. 첫째 줄에 N이 입력됩니다. (1
[이분탐색] 난이도1.5, 이취코 197p '부품 찾기' (Python) 동빈이네 전자 매장에는 부품이 N개 있다. 각 부품은 정수 형태의 고유한 번호가 있다. 어느 날 손님이 M개의 종류의 부품을 대량으로 구매하겠다며 당일 날 견적서를 요청했다. 동빈이는 때를 놓치지 않고 손님이 문의한 부품 M개 종류를 모두 확인해서 견적서를 작성해야 한다. 이때 가게 안에 부품이 모두 있는지 확인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예를 들어 가게의 부품이 총 5개일 때 부품 번호가 다음과 같다고 하자. N=5 [8, 3, 7, 9, 2] 손님은 총 3개의 부품이 있는지 확인 요청했는데 부품 번호는 다음과 같다. M=3 [5, 7, 9] 이때 손님이 요청한 부품 번호의 순서대로 부품을 확인해 부품이 있으면 yes를, 없으면 no를 출력한다. 구분은 공백으로 한다. 첫째 줄에 정수 N이 주어진다. (1
[알고리즘] 완전탐색(순차탐색)/이분탐색(이진탐색) 완전 탐색(=Brute Force) / 순차 탐색(=Sequential Search) 컴퓨터의 빠른 계산 성능을 활용하여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하는 효율성 관점에서 최악의 방법 리스트 안에 있는 특정한 데이터를 찾기 위해 앞에서부터 데이터를 하나씩 차례대로 확인하는 방법 시간 복잡도 : O(N) = 선형 복잡도 = 입력값이 증가함에 따라 시간 또한 같은 비율로 증가하는 것 [반복문] def solution(trump): for i in range(len(trump)): if trump[i]==8: return i return -1 def sequential_search(n, target, array): for i in range(n): if array[i] == target: return i+1 ..

LIST